알림


경기북부장애인권익옹호기관

장애인 인권뉴스


‘생애 첫 현장투표’ 중증 장애인, 인권위 긴급구제 요청

2020.04.07 관리자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이동지원 차량 등 요청에 지역선관위는 내부인력 없다묵살

장애를 떠나 안전한 투표 지원해야인권위에 참정권 보장 긴급구제요청


3일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등 장애계단체는 중증 장애인 이 씨의 생애 첫 지역사회 투표권 보장을 요구하는 긴급구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기했다. 

3일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등 장애계단체는 중증 장애인 이 씨의 생애 첫 지역사회 

투표권 보장을 요구하는 긴급구제 진정을 국가인권위원회에 제기했다.


장애인식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해야 할 선관위 실무자들의 인식 또한 여느 비장애인들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고 느꼈습니다.

 

참정권은 매우 중요한 권리라고 생각하기에 반드시 장애인 차별철폐의 첫 걸음으로 현장투표를 진행할 것입니다.”

 

- 중증 장애인 당사자 이 씨 발언문 중


오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가 있는 날이다. 18세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투표를 통해 자신의 참정권을 행사할 수 있다.

 

충북 옥천군에 살고 있는 이OO 씨 역시 국민의 한사람으로 참정권이 부여된다. 하지만 그의 참정권은 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회피에 가로 막힐 위기에 처했다. 이유는 중증 장애인을 위한 편의제공이 준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씨는 근육에 힘이 빠지며 걷거나 앉는 것조차 힘든 근이영양증을 갖고 있다. 최근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외출을 거의 하지 못한 채 누워서 생활을 하고 있는 그는 선거 때마다 거소투표 안내만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21대 총선에서는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생애 첫 현장투표를 진행하기로 결심했다.

 

평상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산소호흡기 등으로 인해 외부와의 소통이 어려운 이 씨는, 옥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본인의 결심을 전달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옥천군선거관리위원회(이하 옥천선관위)에 이동지원차량 지원, 투표 시 응급상황을 대비해 의료지원인력 배치를 요청했고, 옥천선관위도 긍정적인 답변을 통해 구두로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옥천선관위는 보건소 등 유관기관과 문의한 결과 지원이 어렵다며 말을 바꿨다. 더불어 선거관리위원회의 책임이 아니다’, ‘내부 인력이 없다는 이유만을 반복하며 재차 거소투표를 안내했다.

 

이 씨는 지역투표소에서 현장투표를 하겠다는 의사를 상위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앙선관위)에도 전달했지만, 옥천선관위와 문의하라는 답변만 돌아왔고, 자세한 설명과 논의도 피하는 등 제대로 된 답변을 받지 못했다.

 

그사이 거소투표 신고기간 일정마저 지났고, 현장투표를 위한 지원이 없다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에 부딪혔다.

 

장애인 참정권 외면하는 선관위 기가 막혀국민의 권리 당연히 누릴 수 있어야

 

이 씨의 억울한 사연은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를 향했다.

 

3일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이하 장추련) 등 장애계 단체는 참정권 보장의 의무를 다하지 않은 중앙선관위와 옥천선관위를 피진정인으로 하는 중증 장애인 참정권 보장긴급구제 진정을 인권위에 제기했다.

 

장추련은 참정권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 권리 중 하나로, 장애인 또한 당연히 참정권을 보장받아야 한다.”선관위의 무책임한 행태로 장애인의 참정권이 배제되고 있어 긴급구제를 통한 시정권고를 요청한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모인 장애인 당사자들은 국민의 참정권을 위해 편의를 보장해야 할 선관위가 그 역할을 온전히 해내지 못한데 대한 질타를 쏟아냈다. 더불어 인권위에 강력한 시정권고를 요청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은 선관위는 장애의 유무를 떠나 국민이 안전하게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하지만 어처구니없게 지원을 마련할 여력과 예산이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씨도 현장투표를 결심하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을 것이고, 선관위가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지금의 상황을 인권위가 인지하고, 이 씨의 생애 첫 현장투표가 이뤄져 더 많은 중증 장애인들이 투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김준우 공동대표는 모든 국민이 당연히 누리고 있는 참정권에 대해 긴급구제를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남성이든 여성이든,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투표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이런 말이 무색하게 중증 장애인의 권리를 짓밟고 있다.”마땅히 투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국민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한다.”며 호소했다.

 

한편, 장추련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인권위에 중증 장애인 당사자 이 씨의 참정권 보장을 촉구하는 긴급구제 진정서를 제출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



이날 인권위에 전달한 '중증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긴급구제 진정서. 

   이날 인권위에 전달한 '중증 장애인 참정권 보장' 긴급구제 진정서.


[장애인신문·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

 

원문보기(출처-웰페어뉴스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3431)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18 칭얼대는 장애 학생에 "시끄럽다" 뒤통수친 특수학교 교사 관리자 2020.08.04
117 '밥 뱉었다' 장애아동 뺨 때리고 팔 꺾은 미인가 교육시설 직원 관리자 2020.07.30
116 지적장애 학생에게 고추냉이 먹인 교사 2심서 유죄... 집행유예 관리자 2020.07.27
115 "같이 살자" 지적장애인 꼬드겨 돈 뜯은 20대 유부남 관리자 2020.07.21
114 "불로 지지고 끓인 물 뿌리고" 지적장애인에 가혹행위 20대 연인 구속 관리자 2020.07.21
113 작년 장애인 학대 신고 전년보다 20% 늘었다. 관리자 2020.07.15
112 지적장애인 '4시간 감금ㆍ폭행'한 일당 제주서 검거 관리자 2020.07.14
111 장애인 폭행·성추행·횡령…장수 벧엘장애인의집 '민낯' 관리자 2020.07.10
110 “집값 떨어지니 장애인 나가라” 벽보 붙은 대구 한 아파트 관리자 2020.06.30
109 장애인 4명 상습 폭행 사회복지사들, 징역형·벌금형 선고 관리자 2020.06.30
108 지적장애인 빨랫방망이로 때려 숨지게 한 활동지원사 징역 17년 관리자 2020.06.18
107 '그룹홈' 아동학대 내부고발에 포항지역 '후끈'... 경찰, 5명 검찰 송치 관리자 2020.06.17
106 식당 단골 대출금 가로채 노숙자로 전락시킨 50대 여성 실형 관리자 2020.06.10
105 편의제공 못 받은 채 면접시험 응시, 면접위원들은 자꾸 장애 질문만… 결국 ‘탈락’ 관리자 2020.06.09
104 10년간 무임금 노동 강요·상습폭행…'타이어노예' 업주 실형 관리자 2020.06.05
103 무의식 반복행동 '뚜렛증후군' 정신장애로 인정…국내 첫 사례 관리자 2020.05.19
102 합천고려병원 정신장애인 사망에 인권위 “개인 일탈 행위 강해” 관리자 2020.05.19
101 [단독] 지적장애 중학생 집단 폭행…"축구공처럼 찼다" 관리자 2020.05.08
100 사회 인권위 “지적장애인 본인 동의 없는 무단 촬영·전송 행위는 인권 침해” 관리자 2020.04.20
99 시각장애인 김예지 당선에…국회, '안내견 조이' 출입 고심 관리자 2020.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