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경기북부장애인권익옹호기관

장애인 인권뉴스


"이웃에 수억 뜯겨도 믿더라"…'지적장애 가족' 지켜준 상담사의 당부

2025.05.15 관리자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옆집 반찬가게 이모' 사건 숨은 조력자,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김홍태 상담원 인터뷰

김홍태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상담원 /사진=양윤우 기자

김홍태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상담원 /사진=양윤우 기자
"가해자가 '옆집 이모'처럼 친근한 사람이라 피해자들은 돈을 빼돌렸다는 사실조차 처음엔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장애가 있다고,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이유로 피해자의 목소리를 무시해선 안 됩니다."

김홍태 경기북부 장애인권익옹호기관 상담원은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상담원은 '옆집 반찬가게 이모' 김모씨로부터 수억원을 갈취당한 지적장애 일가족 사건의 고소대리를 맡은 숨은 조력자다. 올해 4년차 상담원인 그는 지적장애인들이 겪는 범죄 피해를 세상에 알리고, 그들에게 돌아가야 할 재산과 권리를 되찾아주는 일을 하고 있다.

김 상담원은 "가까운 사이일수록 착취가 더 은밀하게 이뤄진다"고 했다. 김 상담원이 사건을 접한 건 2022년이었다. 당시 피해자들은 장기간에 걸쳐 수억 원을 빼돌려 간 가해자를 '오랜 이웃이자 친척처럼 지내던 분'으로 여기고 있었다. 김 상담원은 "보통 지적·발달장애인들이 범죄에 노출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렇게 오랜 기간 거액을 착취당한 건 흔치 않았다"며 "특히 가해자가 가족처럼 지낼 정도로 친근하면 피해자 입장에선 '설마 나쁜 의도가 있겠어?' 하고 생각하기 쉽다"고 밝혔다.

사건 초기 피해자들은 가해자 김씨가 자신들의 돈을 빼돌렸다고 인지했음에도 '이웃이니까 나쁜 의도가 있진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건이 신고되자 김씨가 피해자 집을 찾아가서 "말 똑바로 하라"며 허위 진술을 강요했다. 피해자들은 극심한 두려움을 호소했고, 그제서야 당했다는 걸 인지했다고 한다.

김 상담원이 가장 먼저 한 일은 가해자와 피해자 분리였다. 그는 "도저히 같은 동네에서 마주치게 놔둘 수 없어서 가까운 피해장애인쉼터로 대피시켰다"며 "이사를 원하는 피해 가족을 위해 직접 임대주택 정보를 알아보고 신청을 해줬고, 당시 미성년자였던 딸의 학교 전학을 도왔다"고 밝혔다. 김 상담원은 "피해자들이 새로운 지역에서 잘 정착한 모습을 보니 마음이 놓였다"고 했다.

그렇게 타 지역으로 거처를 옮긴 뒤 피해사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형사 고소를 진행한 결과, 경찰 수사와 검찰 단계에서 보완수사 2차례를 거쳐 2년 만에 기소 결정이 내려졌다. 김 상담원은 "최근 재판에 넘겨졌다는 통지를 받았을 때는 '아, 드디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동안 피해자의 장애 특성을 꾸준히 설명하고 진술의 신빙성을 얻기 위해 객관적 자료를 제출하는 데 애썼다"고 말했다.

김 상담원은 이번 사건을 "상대적으로 수사가 잘 된 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른 사건들에선 피해자들의 진술이 조금만 달라져도 '신빙성이 없다'며 경찰 단계에서 단순 불송치로 끝나버리는 경우가 많다"며 "어떤 수사관은 '왜 이렇게 말이 계속 바뀌냐'고 짜증부터 내기도 하는데, 지적·발달장애 특성상 본인이 받은 피해를 분명히 설명하기가 어려운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김 상담원은 담당 수사관의 수사 의지에 따라 사건 처분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사기관에 장애 특성을 이해시키는 데 많은 노력을 쏟는다고 한다. 그는 "수사기관에 피해자의 장애 특성과 가해자의 관계성을 설명하면서 피해사실을 이해시키는 것에 노력하고 있다"며 "사건 초기부터 전문적인 면담과 기록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를 위해선 피해자와 많은 시간을 나누면서 관계를 형성한다"고 했다.

김 상담원이 일하면서 가장 큰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일까. 그는 "최근 피해자 가족과 간단히 식사하는데, '정말 고맙다'고 했다. 아직 재판은 시작 단계이지만 '우릴 믿어주는 사람이 있구나'라는 사실만으로도 피해자들의 마음이 많이 편해진 것 같아서 뿌듯했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장애인 사건의 경우 피해 당사자가 직접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며 주변 사람들의 적극적인 관여와 조기 신고가 필수적이라고 거듭 당부했다. 그러면서 "별일 아니겠지 하고 넘어가면 피해는 오래 지속된다"며 "이웃이나 가족 관련 기관이 '무언가 이상하다' 싶으면 꼭 신고해야 학대를 멈추는 가장 빠른 길이 열린다"고 했다.


출처: 머니투데이

원문보기: "이웃에 수억 뜯겨도 믿더라"…'지적장애 가족' 지켜준 상담사의 당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98 장애인 명의 빌려 특별공급 분양권 챙긴 40대 2명 실형 관리자 2022.01.17
197 누림센터, ‘장애인학대 예방, 신고의무자 교육’ 개설 관리자 2022.01.06
196 “수업에 집중 안한다” 지적장애 8살 초등생 때린 교사 관리자 2021.12.23
195 속리산서 숨진 채 발견된 지적장애인 "학대에 연금 갈취당해" 관리자 2021.11.26
194 "지각한 벌로 한판 붙자" 지적장애 제자 때려눕힌 태권도 관장 관리자 2021.11.16
193 '장애인 학대'로 홀트 주간보호센터 18년 만에 폐쇄 관리자 2021.11.04
192 "'섬노예' 장애인 학대 신고에도…인력 부족에 한 달 지나 현장조사" 관리자 2021.10.20
191 ‘부양의무자 기준’ 60년만에 폐지…가족 소득 있어도 생계급여 지급 관리자 2021.10.01
190 장애 10살 아들 학대, 친부 항소심서 형량 늘어…징역 8월 관리자 2021.09.08
189 인천 어린이집 원생 상습학대…원장·보육교사 모두 실형 관리자 2021.09.08
188 작년 장애인 학대 1천8건, 전년보다 6.7%↑…가해자 20%는 지인 관리자 2021.08.31
187 인터넷방송서 지적장애인 성추행한 'BJ 땡초' 징역 4년 6월 실형 관리자 2021.08.19
186 장애인 2년 넘게 침대에 묶어 학대한 요양보호사 등 5명 집유2년 관리자 2021.08.02
185 청각장애인 택시기사 마구 때린 만취 20대 '집유 3년' 관리자 2021.07.29
184 사흘만에 혼인신고 지적장애 아내 마구 때린 30대 실형 관리자 2021.07.26
183 채팅앱 통해 만난 지적 장애여성 성폭행한 40대 징역형 관리자 2021.07.21
182 때리고 억지로 먹이고…장애아동 학대한 어린이집 교사들 관리자 2021.07.15
181 강화도 개 농장서 장애인 노동착취 의혹…권익기관 조사 관리자 2021.07.15
180 친형이 6일간 파리채로 온몸 구타…성탄절 숨진 지적장애 동생 관리자 2021.07.13
179 지적장애 누나 묶고 굶겨죽인 동생…80㎏ 체중이 28㎏ 됐다 관리자 2021.06.24